본문 바로가기

리눅스/이론

[리눅스] ARP 상세: http://community.365managed.com/?document_srl=952 풀어쓴 설명: http://ospace.tistory.com/170 동일한 LAN 내에 연결된 컴퓨터의 IP주소를 얻는데 사용 - arp프로토콜로 브로드캐스팅하여 ip adress를 이용하여 mac adress를 얻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 arp패킷생성 >브로드캐스트(send(자신IP,자신MAC),target(target IP, 0 MAC)) > target IP 확인 > 맞으면, 유니캐스트 전송(send(자신IP,자신MAC, target IP, target MAC) > 이후 데이터 전송 더보기
[리눅스] bonding(Link Aggregation) 본딩드라이버는 다양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묶는것에 대한 행동들을 제공한다 hot standby or load balancing 서비스가 있다 추가적으로, link integrity monitoring이 수행된다 * ifenslave : 두개의 랜을 하나의 대역폭으로 묶어서 사용할때 http://www.superuser.co.kr/superuserboard/view.html?id=62&code=pds_linux&start=0&position= * miimon : 상태 체크 주기 2. Bonding Driver Options 3.Mode [Bonding 모드 종류] 0 : balance-round robine ( 2개의 NIC를 통한 분배 + Fault Tolerance ) 1 : active-standb.. 더보기
[리눅스] 저널링 XFS, ReiserFS 파일 시스템 * 저널링 파일시스템 http://www.lug.or.kr/docs/LINUX/others/01-05-3.htm * XFS - 대용량 파일 시스템 : 64비트 파일 시스템으로 900만 TB까지 지원 - 저널링(신속한 복구) : 파일 수에 관계없이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부터 신속한 복구 및 재시작 - 신속한 트랜잭션 : 읽기/쓰기 - 높은 확장성 XFS 파일시스템 장점 1) 진정한 64Bit Filesystem 이다 2) 이론상 64Bit OS에서 900만 TB까지 지원한다. 32Bit OS에선 16TB까지 지원 3) 사용가능한 inode 수가 많다. 같은 용량에서 EXT3에 비해 8배 많은 inode 생성 가능 4) xfs_growfs 유틸을 통해 마운트된 상태에서도 파일시스템 확장이 가능하다. 5) 경이.. 더보기
처음부터 다시 배우는 리눅스 http://kwon37xi.egloos.com/1438638 더보기
[리눅스] 데몬이란?(심화) http://radiocom.kunsan.ac.kr/lecture/unix_cmd/daemon.html 더보기
[리눅스] Quota 참고링크 : http://wiki.kldp.org/wiki.php/DocbookSgml/Quota Quota는 사용자나 혹은 그룹이 가질 수 있는 inode의 수, 혹은 사용자나 그룹에게 할당된 디스크 블럭의 수를 제한함으로써, 디스크 저장 장치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게 해준다. 즉, Quota는 사용자나 그룹의 디스크 사용량을 제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준다. 더보기
[리눅스] ISCSI 컴퓨팅 환경에서 iSCSI(Internet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는 데이터 스토리지 시설을 이어주는 IP 기반의 스토리지 네트워킹 표준이다. iSCSI는 IP 망을 통해 SCSI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인트라넷을 거쳐 데이터 전송을 쉽게 하고 먼 거리에 걸쳐 스토리지를 관리하는 데 쓰인다. iSCSI는 근거리 통신망과 원거리 통신망, 아니면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쓰이며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는 데이터 보관과 복구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특수 목적의 케이블링을 요구하는 전통적인 파이버 채널과 달리 iSCSI는 기존의 네트워크 인프라를 사용하여 먼 거리에 걸쳐 운영할 수 있다. 더보기
[리눅스] 디스크 관리 참고자료 검색 : http://www.google.co.kr/#q=doesn't+contain+a+valid+partition+table&hl=ko&newwindow=1&prmd=imvnsulfd&source=lnt&tbs=lr:lang_1ko&lr=lang_ko&sa=X&ei=G2wWT9zxBePJmQWXkdWuAw&sqi=2&ved=0CBoQpwUoAQ&bav=on.2,or.r_gc.r_pw.,cf.osb&fp=9d240990a75e031f&biw=944&bih=924 1. http://rain.boanlab.com/index.php?mid=textyle&category=24274 더보기
[리눅스] SNMP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rol) -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 감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UDP 상에 정의된 응용 계층 표준 프로토콜 - 네트워크 성능을 관리하고 네트워크 문제점을 찾아 수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 서버(manager)-클라이언트(agent) 모델 - 특정 정보 요청 및 agent에서 특정 상황시 manager에게 상황을 알릴수 있다(비동기적) 네트워크 구성관리네트워크상의 호스트들이 어떤 구조를 이루고 있는지 지도를 그리는게 가능하다. 성능관리각 네트워크 세그먼트간 네트워크 사용량, 에러량, 처리속도, 응답시간 등 성능 분석에 필요한 통계정보를 얻어낼수 있다. 장비관리SNMP의 주목적이 네트워크관리관리 이기는 하지만 SNMP특유의 유연한 확장성을 이용하여서 .. 더보기
[리눅스] NIS * NIS (Network Information System) passwd, group 등의 네트워크 정보 파일들을 하나의 서브에서 관리하여 나머지 서브들이 새로운 정보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 예) 10대 이상의 컴퓨터에 새로운 영어계정을 만들어야할때, 각 컴퓨터에 계정을 등록하기보다 하나의 관리툴로 한번에 계정을 생성하면 나머지 10대 컴퓨터들에 영어계정이 자동으로 생성 NIS 시스템 만들기: http://www.lug.or.kr/docs/LINUX/others/98-03-4.htm NIS 서버 : http://stone.backrush.com/sunfaq/ljs002.html 더보기
[리눅스] AnyReplicator TCP/IP 기반의 G-NAS간 볼륨 복제 및 복구 하나 이상의 NAS를 다중 복제 가능 복제 시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 하기위해 변경된 데이터만 선택적 전송 스케줄 기능 (동기화 기능과 비슷) *Source 등록 - 복제할 원본을 등록한다(볼륨과 하위 디렉터리를 선택 및 권한 및 접속수 등 설정) - Section Zone 을 네트워크에서 설정한다. 이때, 로컬인경우, 192.168.1.214 원본 주소에 192.168.1.214 Replicator가 접속하므로 Zone 범위를 192.168.1.0~192.168.1.255 로 해야한다. * 호스트 등록 - 복제할 원본에 접속할 주소 설정 * Replica 등록 - 접속할 호스트를 선택 - source 선택 - 목적지 볼륨 선택 - source 데이터를.. 더보기
[리눅스] Anyshot == snapshot 참고링크 : http://docs.redhat.com/docs/ko-KR/Red_Hat_Enterprise_Linux/6/html/Logical_Volume_Manager_Administration/snapshot_volumes.html *스냅샷은 서비스의 장애를 초래하지 않고 특정 경우의 장치의 가상 이미지 생성 스냅샷을 찍은 후 원래의 장치에 변경사항이 있을 경우 변경된 데이터 영역의 복사본을 만들어 장치의 상태를 저장 *사용이유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사용하용하는 시스템에서 시스템을 중지시키지않고 논리 볼륨에서 백업을 수행할 때 (백업 도중 사용자가 파일을 이동했을 경우 백업하려는 원본 데이터와 백업된 데이터가 달라질수 있으므로 이미지를 확실하게 찍어둔후 그 내용들을 백업한다) .. 더보기
[리눅스] CIFS mount 하기 1. \\IP Adress\shareName(share1, share2...) 2. 네트워크 드라이브 컴퓨터 -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더보기
[리눅스] NFS mount 하기 * 마운트가 안될경우mount -t nfs 192.168.100.110:/root/test /nfs/ -o vers=3옵션 -o vers=3 을준다NFS3 이 4로 마운트할때... mount -t nfs servername:directory local_directory mount -t nfs serverip:directory local_directory 예를 들어 서버 이름이 ubuntu 이고 ip가 192.168.0.2 라면 mount -t nfs ubuntu:/home/ubunutu /mnt/nfs mount -t nfs 192.168.0.2:/home/ubunutu /mnt/nfs - mount 해제하기 [root@localhost /]# umount -t nfs - umount 실행시 아래과 같은.. 더보기
[리눅스] Raid 정리 참고 : http://capple.tistory.com/109 1. RAID - 여러개의 하드 디스크에 데이터를 나눠서 저장 - 파티션은 하나의 디스크를 여러 개의 디스크를 사용하듯이 - RAID는 여러 개의 디스크를 마치 하나의 디스크처럼 사용 - 0~6 레벨 - 스트라이핑(분산), 미러링(중복), 패리티(무결성) 2. RAID - Striping(분산) - 데이터를 여러 개의 디스크에 분산하여 저장 (하나의 디스크에 저장할 수 없는 데이터를 여러 개의 디스크에 분산시키는 것으로 큰 용량을 구성 목적) ⓐ 묶음 - 스팬(span) - 하나의 디스크가 꽉차면 다른 디스크에 이어서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 - 분산이 아닌 여러개의 디스크를 단순히 하나의 공간으로 묶음 ⓑ 분산 - Stripe - 데이터를 쪼.. 더보기
[리눅스 개념] 디스크의 종류와 용어 - 디스크, 파티션, 볼륨, 드라이브 http://capple.tistory.com/95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