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딩드라이버는 다양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묶는것에 대한 행동들을 제공한다
hot standby or load balancing 서비스가 있다
추가적으로, link integrity monitoring이 수행된다
* ifenslave : 두개의 랜을 하나의 대역폭으로 묶어서 사용할때
http://www.superuser.co.kr/superuserboard/view.html?id=62&code=pds_linux&start=0&position=
* miimon : 상태 체크 주기
2. Bonding Driver Options
[Bonding 모드 종류]
0 : balance-round robine ( 2개의 NIC를 통한 분배 + Fault Tolerance )
1 : active-standby ( Active상태의 NIC에 문제 발생시 Fault Tolerance )
2 : balance-xor ( 0과 비슷하지만 xor연산을 이용한 목적지 Mac과 근원지 Mac을 이용한
분배 + Fault tolerance)
3 : broadcast ( 2개의 NIC에 어떤 규칙 없이 데이터 통신 + Fault Tolerace)
4 : 802.3ad (link aggregation) – switch 에 aggregation 그룹생성이 필요
miimon
얼마나 자주 MII link를 감시할 것인가를 0.001초 단위로 설정한다. MII는 NIC가 살아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사용. 따라서 고가용성을 요하는 경우에는 MII가 필요함.
NIC가 MII를 지원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음 명령을 사용한다.
# ethtool eth0 | grep Link
Link detected: yes
고가용성을 위해서 bonded interface를 사용하고 한다면, NIC가 반드시 MII를 지원해야 한다. 디폴트 값은 0으로 이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다.
downdelay
updelay
arp_interval
arp_ip_target
primary
multicast
[출처] Bonding module option|작성자 아스라다
'리눅스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ARP (0) | 2012.01.19 |
---|---|
[리눅스] 저널링 XFS, ReiserFS 파일 시스템 (0) | 2012.01.19 |
처음부터 다시 배우는 리눅스 (0) | 2012.01.19 |
[리눅스] 데몬이란?(심화) (0) | 2012.01.19 |
[리눅스] Quota (1) | 2012.01.19 |